반응형
배열
- 인덱스를 사용하여 원소에 바로 접근 가능하다
- 새로운 값을 삽입하거나 특정 인덱스에 있는 값을 삭제하기 어렵다. 삭제하려면 주변 인덱스 값을 옮겨야 한다.
- 배열의 크기는 선언할떄 지정할 수 있으며, 한 번 선언하면 크기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 구조가 간단하다. (코테 사용)
리스트
- 인덱스가 없어서 값에 접근하려면, head 포인터부터 순서대로 접근. 값에 접근 속도가 느리다.
- 포인터로 연결되어 있기에, 데이터 삽입이나 삭제하는 연산속다가 빠르다.
- 선언할 때, 크기 지정이 필요 없다. 크기가 유동적인 데이터를 다룰 때 적절하다.
- 포인터를 저장할 공간이 필요해 구조가 복잡하다.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940번 주몽 (c++) (0) | 2023.09.02 |
---|---|
백준 2018번 수들의 합5 (C++) (0) | 2023.08.29 |
백준 10986번 나머지 합 (C++) (0) | 2023.08.29 |
백준 11660번 구간 합 구하기5 (C++) (0) | 2023.08.28 |
[Algorithm] 구간 합(prefix sum) 완.전.정.복 (1) | 2023.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