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ng[coding diary index]

Song 배열에 코딩 흔적 남겨두기

go 2

[PE 2] 매일코테(Mail-cote): Go언어 프로젝트 해보기

기말고사 2주전에 마무리했던 프로젝트인데, 시험기간때문에 방학이 되어서야 회고록을 쓰게 되었다...그럼 출발~시작계기GDG(Google Developer Group)동아리의 서버 파트에서 백엔드 사이드 프로젝트를 참여했던 프로젝트이다.최신기술 중 몇가지를 적용한 프로젝트(grpc, OAuth, MSA, Kubernetes 등..)를 만드는 것이 목적이었고, 간단한 서버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 동아리의 취지였다. (취지는 매우 간단했다. 그냥 '최신기술 써보고 익숙해지자!' 느낌?)나도 '최신기술 하나 이용해보고, 익숙해지자!' 라는 가벼운 취지였지만, 결국 깊은 공부를 하게 된 프로젝트가 되었다. 하지만... 2명이 팀이 되어 하는 프로젝트에서 열정적인 팀원덕분에 프로젝트의 규모가 커졋고, 덕분에 기말고사..

[EP 2-1] Go언어의 동시성, 병렬성, 쓰레드 -> 고루틴, 채널까지

사람이 자신의 모국어를 쓰는건 그 나라에서 다른 사람들과 의사소통하기 위해서이다.= 주어진 상황에서 사람과 의사소통 할 수 있는 최선의 언어프로그래밍 언어도 동일하다고 생각한다. 어떤 주어진 상황에서 최선의 언어와 조건을 선택해야하기에, 언어의 특징과 그 이유를 잘 알아야한다고 생각한다.이번에는 GO언어를 사용하는 큰 이유 중 하나인, 동시성-병렬성, 그리고 쓰레드에 관련한 글을 쓰려 한다.먼저 각 언어의 개념부터 알아보자! 동시성(Concurrency) vs 병렬성(Parallelism)동시성은 큰 Task들이 빠르게 전환하여 실행되면서, 동시에 처리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을 말한다.(논리적 개념)병렬성은 실제로 task들을 동시에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물리적 개념) 이렇게 놓고 보면 당연히 성능 측..

go 2024.10.09
LIST